브리핑

브리핑

[보도자료] 용혜인 “신용카드 소득공제 폐지, 아동수당 확대 재원 활용” 제안

보도자료
작성자
대변인실
작성일
2025-08-04 12:01
조회
1926

- 배포: 2025.08.04.

- 보도: 배포 즉시

- 담당: 보좌관 장흥배


용혜인 “신용카드 소득공제 폐지, 아동수당 확대 재원 활용” 제안


― 정책 목적 달성한 신용카드 소득공제 폐지, 새로 확보된 세수를 아동수당 확대 재원으로 활용하자

― 근로소득 상위 40%가 전체 세액 감면액의 73% 이상 차지 추정

― 부양 자녀당 공제액 확대 세제개편안 시행되면 역진성 더 강화


정부가 다자녀 가구 신용카드 소득공제 혜택을 강화하는 2025년 세제개편안을 내놓은 가운데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은 “신용카드 소득공제 폐지에 따라 확보될 세수를 아동수당 확대에 사용하자”고 제안했다.


지난달 31일 발표된 이재명 정부 첫 세제 개편안은 올해 말 일몰 예정이었던 신용카드등 소득공제 제도를 연장하고, 총급여 7000만원 이하 소득자의 기본공제액을 현행 300만원에서 자녀 1인당 50만원, 7000만원 초과 소득자는 1인당 25만원 늘리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따라 7000만원 이하와 초과 근로소득자는 자녀 2인에 대해 각각 400만원, 300만원까지 기본공제 한도가 늘어난다.


2023년 36.2조원 규모 신용카드 소득공제액은 조세특례제합법상 전체 소득공제액의 약 95% 절대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19년 27.1조원에서 약 34% 늘어나 같은 기간 총급여(과세대상 근로소득) 기준 근로소득이 26% 늘어난 것보다 빠른 속도다. 역대 정부가 추가공제 도입 등의 방식으로 공제를 확대해 온 결과로 풀이된다. 


용혜인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근로소득 100분위별 신용카드 소득공제 현황(2023년 귀속)’ 자료를 통해 소득 크기별 세액감면 효과를 분석한 결과, 근로소득 상위 40%가 차지하는 소득공제액 비중은 59%였지만, 이들의 세액 감면 추정액 비중은 73%로 나타났다.(하단 근로소득 5분위별 신용카드 소득공제의 세액감면 추정 참조) 누진세율 체계에서 소득공제는 일반적으로 역진적이다. 이에 따라 소득 상층이 차지하는 소득공제액 비중보다 세액감면 비중이 훨씬 더 클 수밖에 없다.


이는 연말정산 근로소득자를 대상으로 한 분석이다. 신용카드 소득공제 혜택을 받지 못하는 순수일용근로소득까지 반영한다면 역진성이 훨씬 더 커질 것으로 추정된다. 용혜인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2023년 순수일용근로소득 현황’에 따르면, 종합소득에 속하는 다른 소득 없이 일용근로소득만 있는 노동자가 372.5만 명이고 이들의 소득은 40.7조원이다. 이들 대부분이 근로소득 분위의 하위 계층에 속한다. 


용혜인 의원은 “소득이 높을수록 출산율과 자녀 수가 많다는 여러 통계를 고려했을 때 자녀공제액을 새로 도입하면 신용카드 소득공제의 역진성이 도리어 커질 것”이라며 “신용카드 소득공제 폐지로 인한 세수를 아동수당 확대 재원으로 사용할 것”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아동수당을 만 18세까지 확대하는 공약을 제시했다. 소요 재원은 8.3조원이다. 자녀공제액을 추가 도입하는 세제 개편안이 시행된다면 신용카드 소득공제에 따른 세액 감면액이 어림 5조원 안팎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용혜인 의원은 “연말정산 근로소득자의 60%에 이르는 1200만명 이상 근로소득자가 신용카드 소득공제에 따르는 감세 효과를 보고 있어 원래 이 제도의 목적이었던 자영업자 소득 파악이 달성된 이후에도 폐지에 따르는 정치적 부담이 컸다”면서 “폐지에 따라 확보되는 세수를 아동수당 확대에 사용한다면 근로소득자들 포함한 사회적 합의에 이를 수 있을 것”이라고 촉구했다.

전체 3,583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보도자료] 교제폭력‧가정폭력‧스토킹의 비극 끊어야… 용혜인, 친밀관계폭력처벌법 대표발의 나서 첨부파일
대변인실 | 2025.09.08 | 추천 0 | 조회 4773
대변인실 2025.09.08 0 4773
공지사항
[보도자료] 기본소득당 용혜인, 생활동반자법 대표발의 “원민경 여가부장관 후보자, 생활동반자법 제정 논의에 의지 밝혀주길 기대” 첨부파일
대변인실 | 2025.09.03 | 추천 0 | 조회 4844
대변인실 2025.09.03 0 4844
공지사항
[보도자료] 신정훈·용혜인 의원, 「농어촌기본소득법」 공동 대표발의… 전국 읍면에 월 30만 원 기본소득 법제화 시동 첨부파일
대변인실 | 2025.08.26 | 추천 0 | 조회 5110
대변인실 2025.08.26 0 5110
3850
New [일정] 기본소득당 10월 21일(화) 일정
대변인실 | 2025.10.20 | 추천 0 | 조회 31
대변인실 2025.10.20 0 31
3849
New [일정] 기본소득당 10월 20일(월) 일정
대변인실 | 2025.10.19 | 추천 0 | 조회 65
대변인실 2025.10.19 0 65
3848
New [국정감사/보도자료] 용혜인 “지역화폐 국비지원율, 할인율에 따라 차등화 해야”
대변인실 | 2025.10.19 | 추천 0 | 조회 52
대변인실 2025.10.19 0 52
3847
New [논평] 10.19 여수순천 항쟁 77주기 관련 용혜인 당대표 입장문
대변인실 | 2025.10.19 | 추천 0 | 조회 57
대변인실 2025.10.19 0 57
3846
[은평구위원회 논평] 청소년독립언론 토끼풀을 향한 학교의 탄압, 그것은 교육의 역할이 아니다
대변인실 | 2025.10.17 | 추천 0 | 조회 191
대변인실 2025.10.17 0 191
3845
[일정] 기본소득당 10월 18일(토), 19(일) 일정
대변인실 | 2025.10.17 | 추천 0 | 조회 127
대변인실 2025.10.17 0 127
3844
[국정감사/보도자료] 친밀관계살인 61.3% 가정폭력에서 발생하는데… 형사처벌 대신 ‘가정보호’하겠다는 수사기관
대변인실 | 2025.10.17 | 추천 0 | 조회 134
대변인실 2025.10.17 0 134
3843
[일정] 기본소득당 10월 17일(금) 일정
대변인실 | 2025.10.16 | 추천 0 | 조회 176
대변인실 2025.10.16 0 176
3842
[국정감사/보도자료] 용혜인 의원, 행안부 대상 국감서 사회적협동조합 차별 개선 이끌어내
대변인실 | 2025.10.16 | 추천 0 | 조회 205
대변인실 2025.10.16 0 205
3841
[국정감사/보도자료] 대형건축물 10개 중 7개는 소방감리 보고서만 믿고 완공승인… 제2의 ‘반얀트리 화재’ 막으려면 현장확인 의무화해야(10.15.)
대변인실 | 2025.10.16 | 추천 0 | 조회 200
대변인실 2025.10.16 0 200
기본소득당의 소식을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