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핑

브리핑

[보도자료] 용혜인, 피케티지수 11.4로 ‘역사적’ 급등. 2020 코로나원년에도 지가만 고공행진

보도자료
작성자
대변인실
작성일
2021-08-09 16:57
조회
4553

배포 : 2021년 8월 5일(화) 

보도 : 배포 즉시

담당 : 장흥배 보좌관(010-2700-8937)

피케티지수 11.4로 ‘역사적’ 급등

2020 코로나원년에도 지가만 고공행진

 

  • 순소득 정체 속 가계 순자산만 비약, 토지자산이 주도
  • 용혜인 의원 “현 지가 수준은 국민경제의 위기, 기본소득 토지세 도입해야”


코로나19가 본격 시작된 2020년에 전국의 땅값이 전년 대비 10.4%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법인기업 보유 순자산은 대폭 감소했음에도 가계의 순자산은 예년보다 2배 가까이 급등했다. 이는 가계가 보유한 자산 중에서도 토지자산의 상승이 가장 크게 기여했다. 코로나19의 여파로 국민순소득은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지만 국민순자산은 6.6% 상승한 결과 피케티지수는 11.4배가 되었다. 2019년 10.7에서 0.7배p나 상승한 것이다.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은 “현재 지가 수준과 상승 추세는 국민경제에 재앙적”이라며 ‘기본소득 토지세’ 도입을 촉구했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국민대차대조표에 따르면 2020년 국민순자산은 1경7,722.2조원으로 전년 대비 6.6% 상승했다. 2014년부터 2019년까지 5년 동안 연평균 증가율 6.7%와 비슷하다(<표1. 제도부문별 국민순자산 변화> 참조). 코로나 원년에도 국민경제 전체가 보유한 자산의 순가치가 예년과 다름없이 늘어난 것이다.

 

가계 보유 토지자산이 국민순자산 상승 주도


모든 제도 부문의 순자산이 상승한 것은 아니었다. 비금융법인과 금융법인을 합한 법인기업의 순자산은 전년 대비 –8.9%를 기록했다. 법인기업 순자산의 2014~2019년 5개년 연평균 증가율은 9.7%였다. 정부의 순자산은 전년 대비 5.5% 상승해 직전 5개년 연평균 증가율 6.1%보다 소폭 떨어졌다. 하지만 가계및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은 11.9% 상승해 직전 5개년 연평균 증가율 6.2%의 2배 가까운 성장세를 기록했다.

   

가계 순자산 중에서도 금융순자산은 전년 대비 18.2% 상승했는데, 이는 직전 5개년 연평균 5.6% 상승률의 3배를 넘어섰다. 이는 지난해 주식 가격 상승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가계 순자산 상승을 주도한 것은 비중이 낮은 금융자산이 아니라 비금융자산이었고, 그 중에서도 토지자산이었다. 가계 보유 토지자산은 2020년 5,810.8조원으로 전년 대비 12.4% 증가했다. 비금융자산 중에서도 주거용 건물의 가치는 5.0% 상승해 예년의 연평균 7.2% 상승보다 낮았다.

 

모든 제도 부문의 토지자산은 지난해 10.4% 상승해 직전 5개년 연평균 성장률 7.1%보다 훨씬 크게 올랐다.(<표2. 토지자산과 GDP 변화> 참조). 명목 GDP 성장률이 0.5%로 정체함에 따라 상승한 토지자산을 GDP로 나눈 값은 2020년 5.0배가 되었다. 2019년 4.6배보다 0.4배p 증가한 수치다.

 

2020년 국민순소득(NNI)은 1,548.5조원으로 전년 대비 증가율이 –0.7%로 나타났다. 제도부문별로는 비금융법인 –8.1%, 정부 1.6%, 가계 0.0% 성장률을 기록했다(<표3.제도부문별 국민순소득 변화> 참조). 국민순소득의 하락은 코로나19 경제위기를 표현하는 것으로 예상한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2020년 피케티지수 11.4 ‘역사적’

 

마이너스 성장을 한 국민순소득에도 불구하고 토지자산이 주도한 국민순자산의 상승에 따라 국민순자산을 국민순소득으로 나눈 값, 즉 피케티지수는 11.4가 되었다. 2019년 10.7에서 11.4로 7.3%가 증가했다(<표4.한국의 피케티지수 변화> 참조). 가계 부문만의 순자산을 기준으로 한 피케티지수는 6.0에서 6.7로 12.7% 증가했다.

 

<21세기 자본>의 저자 토마 피케티는 피케티지수가 클수록 국민경제 전체의 소득 분배에 자본이 가져가는 몫이 커지면서 불평등 세습사회로 간다고 하였다. 피케티는 지수 산출 도식에서 분자에 해당하는 국민순자산의 범위로 ‘가계’ 부문을 주로 사용하면서, 필요에 따라 법인, 정부, 가계 모든 부문의 순자산 합계액(이를 ‘국부’로 지칭)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피케티는 자신이 분석한 국가들 중에 1980년대말과 1990년대 초 사이 부동산 거품이 정점에 달한 일본만이 국부 기준 피케티지수가 9.8배였으며, 다른 주요국들은 8.0배를 넘어선 적이 없다고 기록하고 있다.

 

용혜인 의원은 “현재의 우리나라 지가 수준은 이미 국민경제의 위기이며 상승세를 방치할 경우 재앙적 위기를 가져올 것”라면서 “이재명 경기도지사,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 등 주요 대선 주자들이 제안하는 기본소득 토지세 도입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 표1, 2, 3, 4는 첨부 보도자료 참조

전체 3,399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당 대표 입장] 국민의 위대한 승리, 위대한 국민의 승리
기본소득당 | 2025.04.04 | 추천 24 | 조회 7675
기본소득당 2025.04.04 24 7675
3393
New 기본소득당 7월 5일(토), 6일(일) 일정
대변인실 | 2025.07.04 | 추천 0 | 조회 65
대변인실 2025.07.04 0 65
3392
New [일정] 기본소득당 7월 4일(금) 일정
대변인실 | 2025.07.03 | 추천 0 | 조회 97
대변인실 2025.07.03 0 97
3391
New [후속보도자료] “십대여성 지원센터 폐지가 약자와의 동행이냐” 용혜인, ‘나는봄’ 폐지하는 오세훈 서울시장 규탄 나서
대변인실 | 2025.07.03 | 추천 0 | 조회 98
대변인실 2025.07.03 0 98
3390
New [보도자료] 용혜인 기본소득당 대표, 대통령-야5당 지도부 오찬 회동 모두발언(25.7.3.)
대변인실 | 2025.07.03 | 추천 0 | 조회 85
대변인실 2025.07.03 0 85
3389
[일정] 기본소득당 7월 3일(목) 일정
대변인실 | 2025.07.02 | 추천 0 | 조회 118
대변인실 2025.07.02 0 118
3388
[후속보도자료] 용혜인, 구윤철 기재부장관 후보자 ‘한국형 기본소득’ 비판 “이름 고친다고 안심소득이 기본소득 되지 않아”
대변인실 | 2025.07.02 | 추천 0 | 조회 131
대변인실 2025.07.02 0 131
3387
[일정] 기본소득당 7월 2일(수) 일정
대변인실 | 2025.07.01 | 추천 0 | 조회 142
대변인실 2025.07.01 0 142
3386
[보도자료] 용혜인 “내란공범 한덕수의 ‘내란 스토리’ 밝혀졌다… 알고도 대통령 후보 추대 나선 국민의힘도 책임 물어야”
대변인실 | 2025.07.01 | 추천 0 | 조회 147
대변인실 2025.07.01 0 147
3385
[일정] 기본소득당 7월 1일(화) 일정
대변인실 | 2025.06.30 | 추천 0 | 조회 165
대변인실 2025.06.30 0 165
3384
[일정] 기본소득당 6월 30일(월) 일정
대변인실 | 2025.06.29 | 추천 0 | 조회 190
대변인실 2025.06.29 0 190
기본소득당의 소식을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