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커밍」 가을호 (문미정의 기본소득 人터뷰)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소년을 만났다
문미정의 기본소득 人터뷰 ①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소년을 만났다
문미정(최고위원)
기본소득당 당원은 어떤 사람일까? 기본소득이 불가피한 시대 흐름이라 믿는 사람, 작지만 힘찬 정당 기본소득당을 응원하는 사람일 것이다. 그렇지만 그들이 어떤 이유와 계기로 당원이 되었는지, 어떤 인생을 살아왔는지 궁금하다. 그래서 문미정 최고위원이 당원을 만나 소개하는 인터뷰 기사를 연재하려 한다. 젊은 정당인 기본소득당에서 최고령 당원을 만나는 것으로 시작한다. 1935년생으로 올해 89세인 이구철 당원을 만났다. 이구철 당원은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1970~2000) 현재 명예교수이다.
최고령 당원과 무슨 말부터 시작하나. 일단 만나 수다를 떨어보자 싶어 전화를 했다. 이구철 당원의 차분한 말투에서 따뜻함이 느껴져서 ‘시작이 좋군’이라는 생각에 내 입꼬리가 스르르 올라갔다. 하지만 지금은 여러 이유로 사람들을 만나지 않고 있어서 우선 본인의 블로그를 보면 좋겠다고 하여, 인터뷰를 잘 마칠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을 안고 통화를 마쳤다. 하지만 블로그에 들어가 보고 그가 왜 그렇게 말했는지 알았다. 블로그엔 그의 삶과 생각이 차곡차곡 정리되어 있었다.❶ 아래 다른 서체로 표기한 부분은 이구철 당원 블로그에서 발췌했다. 인터뷰는 블로그를 바탕으로 온라인으로 진행했다.
한국 근현대사와 함께한 삶의 궤적
영화 <포레스트 검프>처럼 그의 삶에는 역사의 흔적들이 새겨져 있다. 그는 일제강점기 후반인 1935년에 일본에서 6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리고 태평양전쟁이 한창일 때 한국으로 돌아와 부모와 떨어져 살게 되었다.
그러고 보면 내 삶은 어떤가. 어쩌면 “한국 현대사를 몸으로 살다 간”이란 부제가 붙을 것 같다. 일제강점기에 그 영향으로 집안이 폭삭 망하여 일본으로 건너가야 했던 아버지 그리고 나중에 합류한 어머니 사이에서 막내로 일본에서 태어났다. …… 오사카 대공습을 피하여 초등학교에 들어가 2학년에 진급하던 해 부모를 떠나 지금의 의정부시가 된 양주의 첫째 누님의 시가 사돈집에서 낯선 고국생활을 시작했다.
2차세계대전이 끝나 일본이 패망하자 이구철 당원은 부모와 다시 만나 함께 살게 됐지만, 잠깐이었다. 아버지가 돌아가셨고, 6.25전쟁이 일어났다. 전쟁이 끝나자 6남매 중 4명만 남았다.
일본이 패망하고 귀국한 부모님을 만났지만, 아버지는 알 수 없는 병으로 누우신지 1주일만에 세상을 뜨셨다. 난 아직도 10번째 생일을 맞기 전이었다. 한반도는 둘로 갈라졌고 좌우 대립이 심각하던 때 나는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학교에 들어갔다. 그리고 3학년에 진급하던 해 625전쟁이 터졌고 우리 집은 또 한 번의 폭망을 맞는다. 6남매 중 둘이 행불이 된 것이다.
큰형은 동경 유학 중에 학병으로 끌려갔다가 다행히 살아 돌아왔고 결혼까지 했다. 그런데 남로당에 가입했다가 6.25가 터지면서 형수와 두 아들을 두고 사라졌다. 전쟁통에 사라진 형이 자의로 월북했는지 납북되었는지, 살았는지 죽었는지 알 수 없다. 가족이 온갖 고초를 겪었고, 결국 형의 아들들이 형수를 모시고 이민을 가버렸다. 다섯째인 누나도 6.25 때 행방불명되었다. 몇 번 인민군을 따라다니다가 어느 날부터 집을 나갔다. 역시 생사도 월북 여부도 모른다.
나중에 이태씨가 쓴 다큐소설 ‘남부군’을 읽었습니다. 남쪽에 있던 인민군은 인천상륙으로 퇴로가 차단되어 지리산에 집결하여 남부군으로 재편합니다. ...거기에는 서울에서 간호보조원으로 인민군을 따라나선 한 처녀가 등장합니다. 열아홉의 나이입니다. 누나가 인민군을 따라 나섰을 때 나이가 바로 열아홉 살이었습니다. 이 처녀 역시 타의에 의하여 지리산의 여자 빨치산이 되어 종래에는 피아골의 외로운 혼령으로 사라집니다. 나는 생각합니다. 어쩌면 누나였는지 모른다고요.